자바스크립트 7가지 데이터 타입이 있다.
Boolean Type
- 논리형
- True or False
- 소문자로 씀
- " " 없이 씀 -> 왜냐하면 이거는 text가 아니기 때문
- true = 1, false = 0
const what = true;
Null Type
- 의도적으로 변수에 값이 없다는 것을 명시할 때 사용
const test = null;
console.log(typeof test === null); // false
console.log(test ==== null); // true
Undefined Type
- 어떤 변수를 만들고 ①그 값을 정의해주지 않았을때 ② 존재하지 않는 객체 프로퍼티에 접근할 경우
- undefined가 반환
Number Type
- 숫자
- 배정밀도 64비트 이진 형식 IEEE 754 값(-(2^53 − 1)부터 2^53 − 1까지의 수
- 부동소수점 숫자 외에도 +Infinity, -Infinity, NaN("Not a Number") 세 개의 상징적인 값을 가짐
const what = 666;
BigInt Type
- 임의 정밀도로 정수를 나타낼 수 있는 JavaScript 숫자 원시 값
- 정수 끝에 n을 추가하거나 생성자를 호출해 생성
> const x = 2n ** 53n;
9007199254740992n
> const y = x + 1n;
9007199254740993n
String Type
- 문자열
- 보통 string 은 text string 을 의미
- " " 안에 넣으면 됨
const what = "Nicolas";
Symbol Type
- ES6에서 새롭게 추가된 타입으로 변경 불가능한 원시 타입의 값
- 이름의 충돌 위험이 없는 유일한 객체의 Property Key를 만들기 위해 사용
const symbol1 = Symbol();
const symbol2 = Symbol(42);
const symbol3 = Symbol('foo');
console.log(typeof symbol1);
// expected output: "symbol"
console.log(symbol2 === 42);
// expected output: false
console.log(symbol3.toString());
// expected output: "Symbol(foo)"
console.log(Symbol('foo') === Symbol('foo'));
// expected output: false
반응형
'소소한 개발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pread와 rest 문법 (0) | 2022.02.13 |
---|---|
배열(Array) 과 Object(객체) 에 대해 알아보자 (0) | 2022.02.02 |
let, const, var 차이 (0) | 2022.01.31 |
자바스크립트 Promise 이해하기 (0) | 2022.01.29 |
Navigator.share api 로 공유기능 구현하기 (0) | 2022.01.26 |